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행운=준비+기회

3~4년새 30배 뛴 곳도… “지금도 올라 정확한 시세 몰라” 본문

지방-혁신.기업도시/제주도

3~4년새 30배 뛴 곳도… “지금도 올라 정확한 시세 몰라”

네잎클로버♡행운 2015. 1. 19. 10:49
728x90

천정부지 땅값, 제주도는 지금…

 

 

3~4년새 30배 뛴 곳도… “지금도 올라 정확한 시세 몰라”

 

제주공항 후보지로 거론되는 대정읍·한경면 3~4배 폭등

 

 

▲ 최근 급격한 부동산 가격 상승지역인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해안 카페촌.

 

 

 

제주 지역 땅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그야말로 천정부지(天井不知)다. 지역 부동산 업계도 가격을 예측·분석하는 게 불가능할 정도로 제주지역 부동산 거래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해안도로를 따라 잘 꾸며진 카페촌은 최근 제주에서 가장 땅값이 많이 오른 곳 중 한 곳으로 지목되고 있다. 3.3㎡당 30만∼40만 원 수준이던 3∼4년 전에 비해 지금은 400만∼600만 원에 거래되는가 하면 최고 1000만 원에 거래된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곳 토박이면서 ‘제주밥상 한모살’이라는 식당을 운영하는 한광택(63) 씨는 “대부분 서울 사람들에게 팔렸지만, 지금도 (가격이 너무 올라) 땅값이 정확히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다. 자고 나면 몇 백만 원에서 1000만 원까지 거래됐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7∼8년 전부터 카누와 서핑을 하는 사람들이 놀러 왔다가 한 집 두 집 거래를 하다 최근엔 이면 도로에 접한 집들까지 폭등하고 있다는 것. 월정리 인근 농가(63.61㎡)의 경우 지난해 1월 법원 경매에서 152대 1의 입찰 경쟁 속에 감정가 3600만 원의 2배가 넘는 8529만 원에 낙찰되기도 했다.

서귀포 지역도 마찬가지다. 제주시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구도 적고 부동산 가격도 저렴했지만 상황이 급변했다. 서귀포시 대정읍과 제주시 한경면 지역은 최근 제주공항 후보지로 거론되면서 3∼4배 이상 부동산 가격이 폭등한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중국 부동산 투자회사인 녹지그룹이 서귀포시가 내려다보이는 동흥동과 토평동 일원에 1조5000억 원을 들여 헬스케어 타운을 조성하고 있다. 제주공항에서 차량으로 45분 거리이며 서귀포 시내에서 5㎞가량 떨어진 지역이다. 또 2조 원 넘게 투자될 서귀포시 서광리 일원의 신화역사공원도 올해 착공할 예정이다. 대정읍 일원에 조성된 국제 외국인학교 단지도 서울 등 수도권 이주민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는 지역이다. 제주 국제자유도시(JDC)가 주관하며 중국자본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들이 서귀포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부동산 가격 상승을 견인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지역 부동산 업계는 이곳 일반 농지의 경우 3.3㎡당 300만 원에 거래되면서 몇 년 사이 7∼8배 오른 것으로 보고 있다. 영화 ‘건축학개론’에도 나온 해안도로의 전망 좋은 곳은 부르는 게 값이다. 화산섬인 제주 특성상 기존 취락 지역이 아닌 곳에는 주택이나 펜션 등을 신축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다. 해안선 100m 이내는 자연경관 보존지구로 지정돼 있다. 사실 제주도의 부동산 폭등 현상은 이미 예견돼 있었다. 지난 2013년부터 연간 관광객 1000만 명을 넘어섰다. 또 올레길·저가항공 영향으로 관광객 급증 추세에 중국 관광객만 200만 명을 돌파했다. 여기에 ‘100세 시대를 대비한 귀농·귀촌 인구 증가’와 ‘젊은층 문화이주민’까지 가세하면서 지난해 제주 인구가 60만 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인구증가는 필연적으로 토지뿐만 아니라 주택 가격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됐다. 부동산 카페 ‘제주 땅이야기’ 대표 고희선 씨는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전후로 제주∼서귀포 구간 도로가 정비되고 지역별 해안도로까지 연결되면서 부동산 투자 분위기가 좋아졌다”고 말했다.

이 같은 땅값 급등에 따른 부정적 시각도 만만치 않다. 새롭게 등장한 부동산 중개 업체들이 아파트 분양 현장의 ‘떴다방’처럼 가격을 부풀리고 있다는 것이다. 제주 구도심에서 부동산 중개업을 하는 노모(61) 씨는 “정상적인 거래가격이라고 보기 어렵다. 1∼2년 사이에 개업한 일부 부동산 중개업체에서 중간 폭리를 취하면서 부동산 가격을 터무니없이 올려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시장 교란이 결국 전체적인 부동산 가격 급등을 주도하면서 거래는 오히려 줄어들어 폐업하는 부동산 사무실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자본이든 ‘떴다방’ 부동산이든 문제는 이처럼 부풀려진 제주지역 부동산 가격이 쉽게 내려가지 않는다는 데 있다. 이지선 한국은행 제주본부 과장은 “제주도민들이 집을 사기가 너무 힘들어졌다. 제주지역에서 주택가격이 급등하면 계층간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저소득층의 타격이 특히 크다”고 말했다.

제주도의회의 고정식(새누리당·제주시 일도2동 갑) 의원도 “연평균 88.1%의 땅값 상승은 영세상인과 주택을 마련하려는 젊은층 등 제주 공동체에 갈등과 절망만 안겨주고 있다”며 “투기 거래가 성행하거나 땅값이 급등하는 지역 등을 토지거래허가지역으로 지정하라”고 제안했다. 고태순(새정치민주연합·비례대표) 의원은 “도내 주택거래시장에 중국인들이 뛰어들고 내국인들이 세컨드 하우스 개념으로 주택을 구입하면서 전반적인 토지와 주택가격을 급격하게 끌어올리고 있다”며 “특히 집값 폭등으로 인해 무주택 가구 중 41%로 가장 많은 주거형태를 차지하는 사글세가 크게 올라 서민들이 큰 피해를 입고 있다”고 주장했다.

원희룡 제주도 지사는 “토지거래허가제를 적용하는 것은 제도의 속성상 전체 토지거래를 제약할 수 있어 매우 신중하게 검토할 사항으로, 개발가능구역에 대해 엄격한 기준을 마련해 무분별한 토지 매입과 차명거래 등에 의한 토지 잠식을 제한할 것”이라며 “부동산투자이민제를 일정지역으로 한정하는 등 단계적으로 무분별한 토지 매입과 그에 따른 부동산 가격 급등을 막을 수 있는 정책을 우선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주 = 글·사진 박팔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