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성공을 향한 초보자 필독/전문가 칼럼 (126)
행운=준비+기회

[윤석열 파면]"불확실성 해소 vs 정책 공백 우려"…부동산 시장 향방은? 오유교기자 / 입력2025.04.04 11:31 수정2025.04.04 11:41 “정권 교체로 정책 선명해질 수도…무주택자, 진입 타이밍” 단기 충격 지적도…“3기 신도시 등 정책 혼선 우려" “공급·금리 등 실물 변수 주목해야…정치 이슈는 일시적 파동”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인용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걷힌 부동산 시장은 술렁이고 있다. 과거 정권교체나 대통령 탄핵과 같은 정치적 격변은 부동산 시장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서울 아파트값은 인용 직후 6개월 만에 1.4% 이상 오르며 정권교체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을 밀어 올렸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단기적 혼란 가능성’을 경계하면서도 정치적..

[기자24시] 롯데의 위기는 부동산 밖에 있다 박홍주 기자 입력 : 2024-12-02 17:54:43 수정 : 2024-12-02 17:55:55 "백화점 업의 본질은 부동산이다."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이 했다고 알려진 이 말은 국내 유통업계에서 일종의 금언처럼 이어져왔다. 백화점을 찾는 이들에게 멋진 브랜드와 참신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도 물리적으로 한정된 공간을 쪼개 임대하는 '선택과 집중'의 영역이라는 뜻이다.롯데그룹이 최근 정기 임원인사를 통해 계열사 대표이사급 21명을 교체했고, 전체 임원의 22%가 떠났다. 임원단은 모두 충원하지 않고 13%를 감축했다. 유동성 위기로 모라토리엄(지급유예)을 선언할 수도 있다는 허위 지라시를 비롯해 안팎의 위기설을 타개하고 분위기를 일신하기 위해서다..
[매경 CEO 특강] "투자는 가치에, 투기는 확률에 베팅하는 것"김혜순 기자 입력 : 2024-11-25 16:48:22 김태홍 그로쓰힐운용 대표 한양대서투기 아닌 투자 마인드 갖춰야미국 증시에 통째로 투자하는S&P500 ETF가 가장 안정적AI·에너지산업도 꾸준히 발전 "투자는 손실이 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손실이 나기 어려운 곳에 투자하세요. 경기 침체가 온 후 7~8개월이 지나면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투자를 적극 고려하세요."김태홍 그로쓰힐자산운용 대표(사진)는 최근 한양대에서 열린 매경CEO특강에서 '부자 인생, 가난한 인생'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김 대표는 투자의 시작은 숫자 분석이나 전문 자격증 취득 같은 거창한 것이 아니라며 "주변에 대한 작은 관심만으로도 ..

오피니언 이우영의 과학 산책단 하나의 그 무엇이 우리를 깨운다중앙일보 입력 2024.10.31 00:35 어둠 속에서 우리를 깨우는 것은 꼭 수많은 지식만이 아니다. 불현듯 스치는 일상의 장면 하나일 수도 있다. 아르키메데스가 욕조에서 흘러나온 물을 보며 부력의 원리를 발견하고, 데카르트가 천장에 기어 다니는 파리를 보며 좌표의 개념을 떠올린 것은 평범한 일상으로부터의 한줄기 섬광이었다. 이처럼 단 하나의 그 무엇이 우리를 깨우곤 한다. 독일 수학자 디리클레(1805~1859)는 수년 동안 수론의 한 난제와 씨름하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로마를 방문할 기회가 있어 시스티나 성당에 들렀다. 그때 그곳에서 한 성가를 듣던 중, 갑자기 ‘비둘기집 원리’가 머릿속에 홀연히 떠올랐다. 이 원리가 굳게 닫혀있..

안해진 대표 "2000만원으로 부동산 투자"…10년 만에 기회 왔다심은지 기자기자 / 입력2024.09.24 17:40 수정2024.09.26 11:38 지면A23 집터뷰안해진 매일옥션 대표"집값 3년 전보다 20% 낮아져"수도권 역세권 빌라 등 추천 “서울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전국 대부분 집값이 20% 정도 떨어졌습니다. 10년 만에 투자 기회가 온 거죠. 2000만원 정도만 투자해도 다양한 형태의 부동산을 사들일 수 있습니다.”부동산 유튜브 ‘복마마TV’의 안해진 매일옥션부동산그룹 대표(사진)는 24일 “집값이 2013년부터 10년 가까이 오르다가 작년부터 주춤하고 있다”며 “경매 시장에서 고를 수 있는 선택지가 그만큼 많아졌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안 대표는 오는 27일 서울 삼성동 코엑..

30년 후 절반이 노인 가구, 주택정책 전환 지금 시작해야 [사설]입력 : 2024-09-22 17:36:11 앞으로 30년 후에는 가구주 나이가 80대 이상인 집이 2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장래가구추계 2022~2052년'에 따르면 가구주 나이 80세 이상 가구는 2022년 119만4000가구에서 2052년 487만6000가구(20.9%)로 4배 늘어난다. 가구주 나이를 65세 이상으로 넓히면 전체 가구의 절반을 노인 가구가 차지하게 된다. 노인 가구가 늘어나면 주택 정책도 달라져야 한다.고령화는 집값 급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도 많았지만, 주택 수요는 예상만큼 줄어들지 않고 있다. 노년기에 접어들면 자산을 팔아 자녀에게 주고 자식 집에서 여생을 보내던..

사외칼럼[기고] 산업단지 60주년, 새로운 혁신 중심지로입력 : 2024-09-12 17:44:37 수정 : 2024-09-12 17:45:40 올해로 한국 산업단지가 탄생한 지 60주년을 맞았다. 대한민국 경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산업단지는 지난 60년간 수많은 도전과 변화를 겪으며 현재의 번영을 이끌어왔고 대한민국 경제 주춧돌이 됐다.1960년대 초 정부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해 산업화를 추진했다. 1964년 구로공단이 첫 산업단지로 조성되며 서막을 열었다. 이후 창원·반월·시화를 비롯해 전국 각지에 산업단지가 구축되기 시작했다. 당시 정부의 수출 진흥 정책으로 1962년 5481만달러에 불과하던 수출액은 1964년 1억달러, 1977년 100억달러를 달성하는 등 산업단지는 한국 경..

[매경이코노미스트] 그린벨트, 미래 비전이 필요하다입력 : 2024-09-04 17:42:28 수도권 집중 심화 우려에녹지보존 중요 역할했지만공익 이름의 폭력적 규제주택공급 단일 목적 넘어장기적 관점 큰 그림 필요 서울을 중심으로 수도권 아파트 가격의 상승이 계속되자 정부가 국민 주거 안정을 위한 주택 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했다. 향후 6년 동안 서울과 수도권에 42만7000가구 이상의 주택 및 신규 택지를 공급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여기에는 8만가구의 신규 택지에 대해 서울 및 서울 인접 수도권의 그린벨트 해제 방침이 포함되어 있다. 그린벨트 해제 정책 발표에 예상 해제 대상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들썩거리고 있는가 하면, 그린벨트 해제를 환경 훼손 혹은 수도권 인구 집중 역행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