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행운=준비+기회

티메프 다음은 건물주다 본문

성공을 향한 초보자 필독/전문가 칼럼

티메프 다음은 건물주다

네잎클로버♡행운 2024. 8. 23. 16:28
728x90

오피니언 박한슬의 숫자읽기

티메프 다음은 건물주다

중앙일보 입력 2024.08.23 00:11 

 

최근 티몬과 위메프가 조(兆) 단위의 정산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져, 대금을 제때 정산받지 못한 기업들의 연쇄 도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무리하게 몸집을 불리려던 플랫폼의 탐욕이 낳은 일회적 현상인지, 구조적 문제점으로 인해 유사 사례가 반복될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렇지만 현재의 미정산 논란과 별개로, 이들 온라인 플랫폼의 성장과 함께 생겨난 폐허는 요즈음의 스포트라이트 바깥에 있다. 바로 상업용 부동산이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하는 ‘상업용 부동산 임대 동향 조사’를 살펴보자. 흔히 ‘자영업’이라고 하면 떠올리는 소규모 상가의 공실률은 2017년 1분기만 하더라도 4% 수준에 불과했다. 그런데 얼마 전인 2024년 2분기에는 공실률이 8%로 7년여 만에 두 배가 뛰었다. 코로나19 대유행과 국제분쟁도 영향은 줬겠지만, 코로나 훨씬 이전부터 장기간 이어진 소규모 상가의 공실률 증가 추이는 사람들의 구매 패턴 변화로 인해 촉발되었다고 보는 게 맞다. 

정근영 디자이너

산업부에서 발표한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2023년에 처음으로 온라인 유통 비중이 오프라인 유통을 넘었다. 소매점에 들러 물건을 사던 사람들이 이제는 온라인 쇼핑을 더 친숙하게 여기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오프라인에서 구매할 수밖에 없는 식음료나, 감각적 경험이 요청되는 특수한 매장 외엔 자영업 매장을 출점할 이유가 줄었다. 썰렁한 유리창에 임대 표시만 덜렁 붙은 상가가 두 배로 는 이유다. 이런 경향이 우리나라에서만 나타날 이유는 없지만, 상대적으로 좁은 국토에 택배 물류망이 촘촘하게 갖춰진 덕분에 변화 강도가 세졌다.

당장 얼마 전 미국에서도 사무용 건물의 공실률이 집계 이래 최고점을 경신했다. 2000년대 초반에는 8% 수준이던 상위 50개 대도시 사무실의 공실률이 2024년 2분기에는 20.1%까지 치솟아서다. 1986년 살인적 고금리를 유지한 볼커 전 연준 의장 때 기록된 19.3%를 넘어선 수치다.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코로나19 시기 시작된 재택근무가 대유행 종식 후에 보편적 문화로 자리 잡은 걸 꼽는다. 소비에 이은 근무의 디지털화다. 

 

상업용 건물의 수요를 지탱하는 두 축이 온라인으로 이주한다면, 상업용 부동산 정책과 개발 방향은 과거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앞으로의 신규 공급이야 줄인다 해도, 이미 공급된 곳들이 문제다. 상권 곳곳에 박힌 을씨년스러운 공실이 생존한 음식점 매출마저 깎아 먹는 상황은 해결되어야 할 텐데, 빈 곳을 채울 해법이 현재는 마뜩잖다. 재개발도 방법이겠으나, 상가 재활성화 방안이 없다면 어차피 새 상가도 공실로 남는다. 그런데 일상의 디지털화는 이제야 겨우 시작 단계다. 도시계획 수준의 대책을 미리 세워야만 한다.

박한슬 약사·작가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72530

 

[박한슬의 숫자읽기] 티메프 다음은 건물주다 | 중앙일보

흔히 ‘자영업’이라고 하면 떠올리는 소규모 상가의 공실률은 2017년 1분기만 하더라도 4% 수준에 불과했다. 코로나19 대유행과 국제분쟁도 영향은 줬겠지만, 코로나 훨씬 이전부터 장기간 이어

www.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