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운=준비+기회
총저축률, 30년만에 최저 기록 본문
총저축률, 30년만에 최저 기록
총저축률이 30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소득이 제자리걸음인데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저축률(원계열 기준)은 3분기 기준으로 30.4%로 1982년 3분기의 27.9% 이래 가장 낮았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거졌던 2008년과 같은 수치지만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늘려보면 올해 30.41%로 금융위기 당시 30.42% 보다 더 낮아졌다.
총저축률은 총저축(개인·기업·정부 저축의 합)을 국민 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총저축률이 낮아지면 국내에서 투자자금을 충분히 조달하기 어려워지고 경기변동에 대응하기 어려워진다.
우리나라의 3분기 총저축률은 `3저 호황`과 올림픽 특수를 누렸던 1988년 41.5%로 통계작성 이래 최고치를 달성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89년 38.1%로 내려앉은 뒤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 36.5%까지 떨어졌다. 카드대란 발생 직전인 2002년에는 30.5%까지 하락했다.
특히 개인저축률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총저축률이 최고치였던 1988년 개인저축률은 18.7%로, 총저축률에서 개인저축률이 차지하는 비중(46.2%)은 절반에 육박했다.
그러나 1991년(18.5%)부터 내리막을 거듭해 2011년에는 4.3%까지 떨어졌다. 개인저축률이 작년 총저축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3.5%에 불과했다.
총저축률이 감소하는 이유는 우선 저축 여력이 부족한 탓이 크다.
연평균 가계소득증가율은 1980년대 17.0%, 1990년대 11.9%, 2000년대 5.9% 등으로 둔화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실제 소득증가 정도는 이보다 낮다.
실제로 3분기 국민처분가능소득(원계열)은 전년 동기 대비 2.5%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09년 2분기(1.7%)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하고 신용카드 사용이 늘어난 점도 저축 동기를 약화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준협 연구위원은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기업의 몫은 점점 커지는 반면 가계의 몫은 심각한 수준으로 줄어들면서 개인저축률이 감소했다"며 "성장으로 파이 자체를 키우되 기업과 가계간 분배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방영덕 기자]
'부자의 대열이 끼려면 >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금·부동산·주식 수익부진…"투자할 곳이 없다" (0) | 2013.02.18 |
---|---|
NO테크?…老테크! 수명 100세 시대, 은퇴후 50년 대비를 (0) | 2013.01.20 |
인덱스펀드 창시자 존 보글 "채권 앞으로 10년간 끔찍할 것" (0) | 2012.08.15 |
노후설계 미루면 안되는 40代, 60~80세 생활비 마련하려면… (0) | 2012.07.02 |
月평균 50만원 적금 부어 17년 만에 2억 (0) | 2012.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