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행운=준비+기회

‘한일 가교’의 길조, 까치 본문

성공을 향한 초보자 필독/사회적 이슈

‘한일 가교’의 길조, 까치

네잎클로버♡행운 2024. 1. 5. 16:17
728x90

‘한일 가교’의 길조, 까치[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 입력 2024-01-04 23:27업데이트 2024-01-04 23:27

 

일러스트레이션 박초희 기자

까악, 까악, 까악!
2024년 첫날을 이 소리와 함께 시작했다. 옆집 지붕에 놀러 온 까치 소리다.
나는 까치의 모습을 보면 늘 좋은 일이 있을 것 같아 가슴이 설렌다.

까치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음력 설날 노래에 나오고, 민화 속에서는 사나운 호랑이 곁에서 호랑이를 놀리고 때로는 짝꿍이 되어 함께 등장하는 새다.

가끔 찾아가는 국립중앙박물관과 경복궁에서도 까치를 만날 수 있다.

까치는 한국인 가까이에 존재하며, 가장 사랑받는 새 중 하나다.

한편 일본에서도 한국 못지않게 까치를 사랑하는 지역이 있다.

바로 내 고향 사가(佐賀)현이다.

1923년 사가에 서식하는 까치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됐고, 1965년에는 현의 새(県鳥)가 됐다.

사람들은 사가현 까치를 친근감 있게 ‘가치가라스(かちがらす)’라 부른다.

나는 그 ‘가치’가 이 ‘까치’라는 걸 한국에 와서야 알았고, 까치를 보면 고향 생각이 나서 자연스럽게 시선이 따라가게 된다.
일본에서 까치의 학명은 ‘가사사기(カササギ·鵲)’인데, 사가현에서만 ‘가치가라스’로 불리는 까닭은 ‘까치’라는 발음에 더 의미를 두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일본에선 ‘까’와 ‘치’ 발음을 정확히 낼 수 없기에 ‘까치’의 가장 가까운 발음인 ‘가치(かち)’가 되었다.

여기에 까마귀의 뜻인 ‘가라스’를 연결시켜 ‘가치가라스’, 즉 ‘까치까마귀’가 된 셈이다. 옛날에는 ‘조센가라스(朝鮮烏)’ 또는 ‘고라이가라스(高麗烏)’라고 불렀다고 한다.

옛 호칭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 일본에 서식하지 않았고, 한국에서 건너와 일본에 정착했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건너온 기원은 임진왜란 때 나베시마(鍋島) 번주가 ‘까치까치’라는 소리를 ‘가치가치(勝ち勝ち)’, 즉 ‘승리승리’로 인식하고, 복을 가져다주는 ‘길조’로 생각해 데려왔다는 설이 유력하다.
나는 몇 년 전 인터넷에서 우연히 흙으로 만든 까치 인형을 보고 반해버렸다.

더구나 홈페이지에 들어가 볼 때마다 품절이라 갖고 싶은 마음이 더 간절해졌다.

그래서 지난해 12월 초 고향 집 가는 길에 사가현 간자키(神崎)시의 오사키(尾崎)인형 공방을 방문했다.

논 한가운데 있는 공방에서는 계승자 조지마 마사키(城島正樹) 씨가 나를 반기며 기다렸다.

‘오사키 인형’은 13세기 일본에 몽골군이 쳐들어왔을 때 포로가 된 몽골군 병사들이 고향을 그리워하며 만든 것을 시작으로 700년 넘게 계승되어 온 도자기 인형이다.

사람이나 동물, 새 등의 모양으로, 입김을 불어 넣으면 ‘호오∼’ 하고 소박한 소리가 나는 흙피리와, 흔들면 데굴데굴 귀여운 소리가 나는 토령(흙방울)이다.

까치 인형에 대해 물으니 조지마 씨는 “만들기 시작한 지 30년 정도 된 것 같은데, 최근 뜻밖에 인기가 있어 4∼5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만들게 됐어요”라고 했다.

그 이유로는 “흑백의 단순한 디자인이 요즘 감각에 맞았고, 까치가 무척 ‘사가’다운 소재이기 때문입니다.

또 까치의 서식지는 전 세계에 걸쳐 있으며, 많은 곳에서 길조로 반기기 때문에 외국인들도 좋아할 만한 것 같습니다”라고 답했다.

“원래 인형의 틀은 대(大)와 중(中)뿐이었는데, 현대인의 취향에 맞춰 작은 크기(小)를 더했어요.

가족을 나타낸 것이기도 합니다”라고도 덧붙였다.

이곳에서 구입한 세 가지 까치 인형 가족은 지금 우리 집에서 두 마리의 고양이와 함께 삶에 작은 행복을 선사하고 있다.
이 밖에도 사가에서 까치는 폭넓게 활약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가의 축구 J리그 팀 ‘사간토스(サガン鳥栖)’의 마크와 마스코트, 그리고 국립사가대의 엠블럼과 마스코트로 활용되고 있다.

‘가사사기호’라는 열차도 만들어져 후쿠오카에서 사가까지 운행하고 있어 이번에 나도 타보았다.
2020년 1월 4일의 니시닛폰신문 보도를 보면, 사가현 교육위원회가 2011∼2013년에 실시한 조사 결과 까치의 수가 1990년대의 약 2만 마리에서 약 1만 마리로 줄었다고 한다.

실제 이번 여행에서도, 서울에서도 예전만큼 많이 만날 수 없어진 게 현실이다.

무척 안타깝다.
칠월칠석날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오작교는 까치와 까마귀가 만들어줬다.

한국에서 건너가 일본에 정착한 까치도 한국과 일본을 연결하는 견고한 오작교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까치로 연결된 한국과 일본이 앞으로도 좋은 인연으로 계속 교류하기를 바란다.

 

이즈미 지하루 일본 출신·서경대 글로벌비즈니스어학부 교수

 

‘한일 가교’의 길조, 까치[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동아일보 (donga.com)

 

‘한일 가교’의 길조, 까치[이즈미 지하루 한국 블로그]

까악, 까악, 까악! 2024년 첫날을 이 소리와 함께 시작했다. 옆집 지붕에 놀러 온 까치 소리다. 나는 까치의 모습을 보면 늘 좋은 일이 있을 것 같아 가슴이 설렌다. 까치는…

www.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