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땅으로 떵떵거리며 사는 부자들
행운=준비+기회
[지주의 나라]③상위 1%가 땅값 ‘50년 상승분’의 38% 챙겼다 본문
[지주의 나라]③상위 1%가 땅값 ‘50년 상승분’의 38% 챙겼다
전병역 기자 입력 : 2017.03.30 06:00:07 수정 : 2017.03.30 14:42:59
일러스트 | 김상민 기자
#서울 광진구 자양동의 ‘옥탑방’에 기거하는 김모씨(30)는 인턴 직장인으로 월급 160만원 정도를 받아 25%를 월세로 낸다. 보증금 300만원에 월 40만원씩 나간다. 여기에 전기료, 도시가스료 등 공과금만 월 10만~15만원씩 들어간다. 여기까지 더하면 다달이 나가는 주거비만 월수입의 30%를 넘는다. 김씨는 “아직 정기 저축도 못하고 있다. 집을 구하기는커녕 번듯한 전셋집이라도 언제 구할 수 있을지 막막하다”고 말했다.
#탄핵당한 박근혜 전 대통령이 사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 자택은 시세가 적어도 58억원대로 통한다. 이 단독주택(지하 1층, 지상 2층)은 대지 484㎡에 건물 연면적 317㎡ 크기로 1990년 10억5000만원에 매입했다. 구입 자금의 출처는 명확지 않지만, 박 전 대통령은 그동안 47억5000만원을 ‘불로소득’으로 챙긴 셈이다.
지난 50여년 동안 땅값 상승에 따른 불로소득 6700조원 가운데 상위 1%가 38%(2551조원), 상위 10%가 83%(5546조원) 가져간 것으로 추산된다. 상위 1%에 속하는 개인당은 평균 33억4000만원씩, 가구당은 평균 100억원씩 차지했다. 이는 월급을 아껴 318년 동안 모아야 하는 규모다. 또 상위 1% 법인의 전체 토지가액은 지난 8년 사이 2.8배 올랐고, 법인당 평균으로도 2배 가까이 상승했다.
■ 토지 소유 편중, 불로소득도 쏠림 초래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과 정동영 국민의당 의원실이 29일 국세청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토지(민유지) 보유실태를 분석한 결과, 1964~2015년 땅값 상승분 6702조원 가운데 상위 1%가 38.1%(2551조원), 상위 5%가 65.5%(4391조원), 상위 10%는 82.8%(5546조원)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일단 시간이 흐르면서 상위계층은 점점 많은 땅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개인별 토지보유 현황(2004년 기준)’ 정부 자료를 보면 가액 기준으로 개인 상위 1%가 37.8%, 상위 5%가 67.9%, 상위 10%가 82.5%를 차지했다. 면적 기준으로는 상위 1%가 전체 사유지 51.5%를 보유했다. 10년 뒤인 2015년 상위 1%가 전체 토지가액의 47.7%, 상위 10%는 84%를 가졌다고 나온다. 땅을 가진 사람은 1609만명으로 인구의 31.7%이고, 국민 68.3%는 땅이 한 평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 소유가 편중되면서 불로소득 역시 소수에 쏠렸다. 지난 51년간 땅값 상승분 6702조원 중 상위 1%가 2551조원(38.1%), 상위 5%가 4391조원(65.5%), 상위 10%가 5546조원(82.8%)을 챙겼다. 개인과 법인이 같이 포함돼 있다.
개인은 51년간 불로소득 6702조원 가운데 65%인 4357조원을 차지했다. 이 중 약 50만명인 상위 1%가 1545조원(35.5%)을 챙겼다고 경실련은 추산했다.
상위 1%에 속하는 1인당으로 환산하면 33억4000만원씩, 3인 가구 기준으로 환산 시 약 100억원씩 불로소득을 얻었다는 얘기가 된다. 상위 2~5%(약 200만명)는 7억원씩, 상위 6~10%(약 250만명)는 3억2000만원씩 차지해 땅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 편중도 컸다. 토지를 보유하고 있지만 상위 10%에 들지 못한 나머지(2014년 기준 국민 중 21.2%, 약 1000만명)는 미미하다. 상위 1%의 1인당 불로소득은 노동자가 월급 중 쓰지 않고 남는 돈(2015년 기준 월 87만5000원, 연 1050만원)을 318년 동안 모아야 하는 수준이다.
법인의 경우 2004년부터 2014년까지 토지가액이 330조원에서 1268조원으로 2.8배 늘었다. 개인은 1145조원에서 3274조원으로 1.9배 상승해 더 낮았다. 면적 기준으로 법인은 0.8배 늘었지만 개인은 오히려 줄었다.
특히 상위 1% 법인의 편중이 커졌다. 토지를 소유한 개인의 경우 상위 1%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 18%에서 2014년 16%로 소폭 하락했다. 반면 법인은 63%에서 76%로 상승했다. 상위 1%의 개인당 토지가액은 29억원에서 32억원으로 소폭 상승한 데 비해 법인당 토지가액은 3398억원에서 6236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올랐다.
■ 자본주의 내부 적, 비용만 올리는 ‘지주’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의 장본인 최순실씨가 1988년 12억6000만원에 매입한 신사동 빌딩은 시세 150억원으로 추정돼 불로소득만 137억4000만원으로 보인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현대건설 사장 시절인 1977년 4527만원에 대지를 사서 지은 서초동 영포빌딩은 땅값(시세)만 161억원(건물은 25억원)을 넘는다.
기업의 경우 한국전력이 1970년 1억2000만원에 매입한 삼성동 부지는 45년 뒤인 2015년 10조5000억원에 현대자동차그룹에 매각됐다.
잠실 제2롯데월드 부지는 1987년 819억원에 매입 후 30여년 가까이 공터로 방치돼 왔다. 제2롯데월드 건립 이전 주변 시세로 추정한 땅값은 8조2000억원이라고 경실련은 계산했다. 삼성생명 태평로 본관 사옥은 1984년 동방프라자에 982억원에 매입했으며, 지난해 부영그룹에 5800억원에 팔렸다.
경실련은 “공공재 성격이 큰 땅이 국민의 삶과 질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경기부양의 수단이나 개발이익의 사유화를 통한 투기용으로 이용됐다. 정부가 정치적 목적에 부양정책을 반복하면서 편중이 가중됐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한정된 토지를 재벌과 소수 기득권층이 사유화하고 개발정보와 각종 정책정보를
미리 알고 있는 재벌과 상위 1%는 불로소득을 늘렸다”고 비판했다.
땅값 상승은 주택 분양가와 거래가를 올리고 이어 임대료, 제조원가도 상승시켰다. 그 부담은 집·땅 없는 서민, 영세 자영업자, 소비자가 상당 부분 떠안는다. 앞서 경실련은 1964년 민간 토지가격은 1조7000억원에서 2015년 6704조원으로 상승한 데 비해 국내총생산은 같은 기간 7000억원에서 1559조원으로, 노동자 임금 총액은 5000억원에서 747조원으로 상승하는 데 그쳤다고 추산했다. 경실련은 ‘자본주의의 내부 적’은 단순히 자본가가 아니라 생산적 활동 대신 불로소득을 챙기느라 사회비용을 끌어올리는 지주에게 있다고 비판했다.
© 경향신문 & 경향닷컴,
'일간지 신문자료 > 지주의 나라-경향비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주의 나라]③‘헬조선’ 만든 미친 집값, 혼인·출산율도 낮춰 (0) | 2017.04.07 |
---|---|
[지주의 나라]②50년간 쌀값 45배 올랐는데, 땅값은 4000배 (0) | 2017.04.07 |
[지주의 나라]②통제 불능 ‘투기 욕망’ 거품만 키운 대책…땅 짚고 헤엄쳤다 (0) | 2017.04.07 |
[지주의 나라]②50년 새 1만배 뛴 서울 땅값, 지방보다 119배 더 올랐다 (0) | 2017.04.06 |
[지주의 나라]①우리들의 일그러진 꿈 ‘건물주’ (0) | 2017.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