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행운=준비+기회

금강 경제권, 300만 '메트로 폴리탄' 본문

세종특별자치시/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

금강 경제권, 300만 '메트로 폴리탄'

네잎클로버♡행운 2012. 7. 3. 00:05
728x90

금강 경제권, 300만 '메트로 폴리탄'

수도권 부릅지 않은 인프라 구축
통합시 '산업'에 세종시 '행정' 시너지
사통팔달 교통 등 도시경쟁력도 '탄탄'

 

 

지난 5월 말 현재 대전시 인구는 152만1천659명이다. 지난해 12월 말 151만5천603명에 비해 0.4%인 6천56명 증가했다.

이처럼 대전시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도안 신도시 입주에 이어 세종시 출범, 과학벨트 거점지구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청주·청원 통합시 인구는 83만 명, 오는 2014년 출범과 함께 100만 인구를 기대하고 있다. 세종시는 인구 10만 명에 그치고 있지만, 20~30년 뒤 50만 자족도시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300만 대도시권 발판

대전시 152만과 청주·청원 통합시 83만 명, 세종시 10만 명은 현재를 기준으로 245만 명에 불과하다. 하지만,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 세종시 인구가 50만 명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은 2030년 이후에는 대전시 170만~180만 명과 청주·청원 통합시 100만 명 등을 예측하면 대전·세종, 청주·청원 통합시 인구는 300만 명을 훌쩍 넘어서게 된다.

대전시와 세종시, 통합 청주·청원시가 향후 금강 경제권을 중심으로 하는 메트로폴리탄(Metropolitan)으로 도약할 가능성이 높은 대목이다.

대전·세종시, 청주·청원 통합 대도시권은 인구 뿐만 아니라 행정·산업·경제·교통·중추관리기능 등 모든 측면에서 핵심지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경부·중부고속도로와 KTX 오송분기역, 청주국제공항 등 내륙교통 중심지이자 생명공학(BT)·정보통신(IT), 첨단의료복합단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등 첨단산업벨트는 국내 최고의 인프라로 손색이 없다.

대전광역시의 중추 관리기능과 세종시의 행정기능, 여기에 청주·청원 통합시의 산업기능이 더해져 타 대도시권 보다 훨씬 파격적인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수도권 경쟁력 추월

지난 2010년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 인구는 전국 4천954만 명 대비 49%인 2천418만 명이고, 차량도 전국 1천679만대 대비 46%인 770만대가 몰려 있다.

반면, 일반 국도는 전국 1만3천820㎞ 대비 13%인 1천832㎞에 불과해 수도권 국도 교통난이 만성화되고 있으며 일부 구간은 도로 기능을 상실할 정도로 심각하다.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 또한 전국 25조9천억 원(2007년 기준)의 56%인 14조5천억 원에 달하고, 혼잡비용도 해마다 상승하면서 도시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은 교통체증이 만성화돼 일부 구간은 아주 심각한 수준이며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 부담으로 국가경쟁력 저하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사회과학원이 최근 발표한 '전세계 도시 경쟁력 보고서(2011~2012)'에 따르면 뉴욕이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있는 도시로 꼽혔다. 이어 영국 런던과 일본 도쿄, 프랑스 파리 순으로 경쟁력이 높았고, 중화권 도시 중 홍콩이 9위를 기록해 유일하게 10위 안에 들었고, 서울은 10위를 차지했다.

지난 2009~2010년 조사에서 서울이 9위, 홍콩은 10위였지만, 이번에는 홍콩과 서울의 순위가 바뀌었다.

◇내부 동반성장 중요

금강 경제권이 한강 경제권을 대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전시와 세종시, 통합 청주·청원시 간 동반성장이 이뤄져야 한다. 인구 300만 명의 '메트로 폴리탄'으로 1천 만 수도권과 경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한강 경제권과 금강 경제권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지역 정치권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대전시와 세종시, 통합 청주·청원시 중 1곳이 나머지 2곳 또는 2곳이 나머지 1곳의 인구와 경제력을 빨아들이는 형태는 바람직하지 않다.

실제, 세종시 출범을 전후해 대전광역시와 충북도는 최근 '세종시 블랙홀' 현상을 경계하는 입장을 표명했다. 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이뤄지는 세종시가 충청권 동반성장이 아닌 세종시 집중화 및 주변지역 공동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청주시의 한 고위 관계자는 "300만 '메트로 폴리탄'으로 도약하기 위해 대전시와 세종시, 청주·청원 통합시가 비슷한 경쟁력을 갖춰 나가도록 하는 문제를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한다"며 "이 같은 전제조건이 충족돼야 3곳 지자체가 '금강의 기적'을 일구는 주역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김동민기자